본문 바로가기
미술치료

13편. 감각통합과 미술치료 – 발달장애 아동과의 미술 시간

by info-yoon1 2025. 4. 25.
반응형

‘감각으로 느끼는 세상, 붓으로 말하는 아이들’

 

🧠 발달장애 아동의 감각과 정서 – ‘다른 방식의 세상 인식’

발달장애 아동은 우리가 당연하게 느끼는 감각 자극에도 예민하거나 무감각하게 반응한다.
예를 들어, 작은 소리에도 놀라거나, 옷의 촉감에 민감해 입지 않으려 하거나,
시각 정보가 과도하게 자극되어 집중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처럼 감각 자극 처리 과정에서 뇌가 일반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특징을 감각통합 문제라고 한다.

또한, 발달장애 아동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
그래서 감정이 격해지면 소리 지르기, 자해, 도망가기 등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행동은 종종 ‘문제 행동’으로 오해되지만, 사실은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 유일한 방식인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건, 이들에게 감각을 안전하게 조절하고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바로 그 역할을 해주는 것이 미술치료다.
붓과 색, 손끝의 움직임은 아동의 감각과 감정을 동시에 자극하고 해소하는 유일한 언어가 되어준다.


🎨 미술치료와 감각통합 – 동시에 작동하는 두 개의 치료 도구

미술치료는 감각 통합 기능을 자연스럽게 자극하는 특징이 있다.
아이가 손으로 점토를 만지고, 손바닥으로 색을 퍼트리고, 붓질을 반복하면서
시각, 촉각, 운동 감각, 협응력이 동시에 활성화된다.
이처럼 미술치료는 감각통합치료의 기능을 일부 포함하고 있어, 발달장애 아동에게 매우 적합하다.

실제 현장에서는 다양한 감각 자극을 활용한 치료법이 사용된다.

  • 촉감 중심 활동: 손바닥으로 물감 문지르기
  • 강약 조절 훈련: 붓을 세게/약하게 눌러 표현
  • 색채 감정 연결 훈련: 기분에 따라 색을 고르게 하기

예를 들어, 자폐성향이 있는 6세 남아 H군은 소리를 매우 싫어해 말이 거의 없었지만,
손바닥으로 그림을 그리는 활동에서 처음으로 웃음을 보였다.
물감의 온도, 질감, 색이 그의 감각에 편안함을 제공했고, 이후 치료사와의 눈맞춤 빈도도 늘어났다.

이처럼 미술은 말보다 먼저 감각과 마음에 도달하고,
치료사는 이 과정을 통해 아이의 반응 패턴을 이해하고 감정 접근 통로를 찾는 실마리를 얻게 된다.


🖌 실 사례 – 그림으로 세상과 연결된 아이

8세 여자아이 J양은 경계성 발달장애 진단을 받고 미술치료를 시작했다.
처음에는 도구를 거부했고, 크레파스를 입에 넣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4주차부터 치료사는 J양이 좋아하는 소재인 ‘동물’을 활용한 활동을 제안했다.
“고양이를 그려볼까?”, “고양이는 어떤 기분일까?”
이 단순한 질문에 J양은 붉은 색으로 화가 난 고양이를 그렸다.

이후 그녀는 매 세션마다 감정을 동물로 표현하며
“오늘은 슬퍼서 파란 고양이야”, “오늘은 뛰고 싶어서 토끼 그릴래”라고 말하게 되었다.
이건 단순한 놀이가 아니다.
그녀는 그림 속 동물이라는 매개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분류하고 언어화하는 훈련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3개월 뒤, J양은 수업 중 자리에 앉아 30분 동안 그림을 그리고,
간단한 문장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변화했다.
미술치료는 그녀의 감각과 감정을 동시에 연결해주는 다리가 되었다.


🌈 발달장애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의 의미 – 말 없는 치유의 언어

발달장애 아동에게 미술은 단순한 그림 그리기가 아니다.
그것은 감정을 꺼내고, 감각을 조절하며, 세상과 연결되는 유일한 언어다.
특히 언어적 표현이 어렵고 자극에 민감한 아이들에게
미술치료는 ‘강요 없는 소통’이 가능한 통로다.

부모들은 종종 아이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면서 달라졌다고 말한다.
“화내는 대신 그림으로 감정을 표현해요.”
“그림 그리는 시간은 아이가 가장 안정되어 보여요.”

이러한 변화는 아이가 단지 표현을 배웠다는 것이 아니다.
내면의 혼란을 이해받고, 표현하고, 받아들여졌다는 감정 경험이 쌓인 결과다.

앞으로의 미술치료는 단순한 ‘특수교육 보조도구’를 넘어
발달장애 아동의 정서, 인지, 감각 통합의 핵심 치료법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변화의 중심에는
색, 선, 감각, 그리고 기다려주는 어른의 시선이 있을 것이다.

 

🎨 감각통합과 미술치료 – 몸으로 만나는 감정 표현의 첫걸음

발달장애 아동은 시각, 촉각, 고유수용감각 등
감각정보를 받아들이고 조직화하는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불안정한 정서, 낮은 자기조절력, 과잉반응 혹은 감각회피 반응을 보이며,
이는 자연스럽게 사회성 결핍과 표현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미술치료는 이러한 아동들에게
감각 통합을 촉진하면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 중 하나다.
말로 하기 어려운 감정도,
‘손끝의 촉감’과 ‘도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표현될 수 있다.

감각통합과 미술치료 – 발달장애 아동과의 미술 시간


🖌 감각통합 미술치료 – 활용 가능한 활동 예시

  1. 폼클레이/지점토 감정 조형
    → 촉각 자극 + 손 감각 조절
    → 분노, 불안, 긴장을 ‘눌러서, 비틀어서, 찢어서’ 표현
  2. 큰 종이에 손바닥 그림 그리기
    → 전신 움직임, 상지 협응 강화
    → “내가 지금 어떤 감정일 때 이 손이 움직일까?” 질문 유도
  3. 촉각 콜라주 만들기 (천, 종이, 끈 등)
    → 질감 비교 + 감정 매핑
    → “이 까슬까슬한 건 어떤 기분 같아?” → 감정과 감각 연결
  4. 색깔 가루(분필가루, 향균사포 등) 문지르기
    → 촉각 민감군의 감각 민감도 조절 훈련
    → 선을 따라가며 안정감 있는 리듬 형성

이러한 활동은 감각을 통합하면서 감정도 함께 조직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감정을 표현해도 괜찮다”는 몸의 기억이 쌓이면,
자기조절력과 표현력이 동시에 향상된다.

한 자폐 스펙트럼 아동은
매번 손에 물감이 닿는 것을 거부하다가,
‘티슈 위에 색 뿌리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터치 범위를 넓혔고,
3개월 후에는 본인의 손으로 직접 색을 섞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 ① 감각 기반 미술치료 워크북 (샘플 구성 – 4페이지 예시)

📘 P1. 감각 탐색 체크리스트

“내가 좋아하는 감각은?”
각 감각마다 아이가 체크하고 표현

감각 유형좋아요 😊싫어요 😖설명이나 그림
말랑한 느낌 (클레이)  
까슬까슬한 천  
부드러운 솜  
손에 물감 묻기  
향기 나는 크레용  

📘 P2. 감각 자극 따라 그리기

“지금 이 촉감은 어떤 모양일까?”
촉감 재료 제공 후, 느낀 대로 선이나 도형 그리기

예: 까칠한 사포 만진 후 → 지그재그 선
말랑한 폼 → 둥글고 부드러운 선


📘 P3. 감정 색깔 물감 섞기

색과 감정을 연결하는 감각 놀이

  • 빨강 = 화남, 파랑 = 슬픔, 노랑 = 기쁨
  • “오늘 내 손이 가장 먼저 잡은 색은?”
  • 그 색으로 간단한 감정 그림 그리고,
  • “그 색은 내 마음의 어디쯤 있었을까?” 한 줄 표현

📘 P4. 나만의 감각 힐링 도구 만들기

  • 좋아하는 감각 조합으로 감정 키트 만들기
  • 예: 천 조각 + 클레이 조각 + 향기 스티커
  • “내가 이걸 만지면 ○○ 기분이 나아져요!”

✔ ② 감각–감정 매칭 카드 (총 12장 기본 세트)

각 카드에는
앞면: 감각 자극 이미지
뒷면: 감정 단어 + 질문

감각 자극감정 연결유도 질문
말랑한 클레이 안정감 / 따뜻함 이 느낌은 언제와 닮았을까?
찬 얼음 팩 깜짝 / 긴장 / 놀람 이 차가운 느낌은 어떤 기분일까?
거친 스펀지 짜증 / 불편함 이 촉감은 기분을 어떻게 만들었을까?
부드러운 천 편안함 / 졸림 이 느낌을 어디에 두고 싶어?
바람 부는 느낌 (손 부채질) 시원함 / 해방감 마음속 어느 곳이 시원해졌어?

💡 활용 팁:

  • 아이가 감정 표현 어려울 때, 감각에서 접근 → 감정 유도
  • 게임처럼 카드 고르고 말하게 해도 좋음
  • 비언어적 아이에게도 강력한 감정 연결 도구로 사용 가능

✔ ③ 치료사용 감각 반응 관찰 체크리스트 (관찰자용 / A4 한 장)

관찰 항목반응 없음민감 반응탐색적 반응긍정 반응메모
클레이 만졌을 때  
손에 물감 묻었을 때  
붓 대신 손가락 사용  
질감 있는 종이 (마끈, 모래 종이 등)  
향기 도구 (향 크레용, 방향제)  

📎 관찰 팁:

  • 세션 전–후 반응을 비교해 감각 적응력 추적
  • 향후 도구 선택, 활동 설계 시 매우 유용
  • 보호자 피드백 제공용 간단 리포트로도 활용 가능
반응형